학습 정리/🦴 CS Study

3. 네트워크 이해

무딘붓 2022. 12. 11. 16:50

✏️ 네트워크 개념정리

  • 네트워크 : 둘 이상 연결된 컴퓨터의 집합, 컴퓨터 간 정보와 자원을 공유하기 위해 연결한 것
  • 연결방식 : 전화선, 동축 케이블, 위성, 무선 등 → 컴퓨터는 지리적으로 어느 곳에나 위치 가능
  • 동작방식 : 요청(Request,송신자) - 인지(Indicate,수신자) - 응답(Response,수신자) - 확인(Confirm,송신자)

  • 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
    • 물리적 주소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저장된 주소
    • 12개의 16진수 숫자로 구성 (앞쪽 6개: 네트워크 카드 제조사, 뒤쪽 6개: 시리얼 번호)
  • IP 주소(IP Address)
    • 인터넷 주소,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
    • 1바이트 크기를 가진 네 자리 숫자로 구성
  • 호스트 이름  : 자연어로 된 이름 ( 예: www.naver.com )
  • 포트번호  : 컴퓨터에서 작동하고 있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번호 (웹80 메일110 FTP21)
  • 프로토콜  :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 것인지 정의한 통신 규약
    → 인터넷 네트워크는 TCP/IP 라는 프로토콜에 따라 동작하고 데이터를 주고받음

  • DNS 서버(Domain Name Server) : URL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버
  •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: 네트워크에서 문제가 있는 장비를 통지하려고 사용

  • OSI 7계층 (OSI 7Layer)
    • 서비스 영역별 레이어를 통해 각 계층별로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
    • 물리 - 링크 - 네트워크 - 전송 - 세션 - 표현 - 응용(어플리케이션) 층 
    • 캡슐화 : 아래 계층에서 위 계층서 내려온 메시지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들을 덧붙임
      → 그 아랫단으로 내릴 때 아랫단에서 필요한 정보들이 헤더(header)로서 포함
    • 송신단에서는 받은 패킷에 대해서 헤더를 하나씩 하나씩 없애면서 위에 계층으로 올려줌

 

💻 네트워크 관련 툴

  • IPConfig : 자신의 시스템에 대한 정보를 보여주는 툴
    • 보여주는 정보 :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
    • 실행 : cmd → ipconfig
  • Ping :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알려주는 툴
    • 통신하고자 하는 상태편 네트워크 연결여부 확인을 도와주는 역할
    • 상대편에 패킷을 보내 응답을 확인하여 호스트가 살아있는지 확인
    • 실행 : cmd → ping + (테스트를 하고 싶은 상대 호스트 네임)
              (예 : ping www.naver.com)
  • tracert : 내 컴퓨터의 패킷이 상대편에 전달되는 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려주는 도구
    • 호스트와 목적지 주소 사이의 모든 Hop을 보여주는 기술자와 해커에게 유용한 도구
    •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라우팅 경로 확인 가능
    •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툴로, 별도의 설치 필요 없음
    • 명령어 : 리눅스 Traceroute / 윈도우 Tracert
    • 실행방법은 ping과 같음 (예 : tracert www.naver.com)

 

* 이 게시글은 K-MOOC 정보보호와 보안의 기초 (링크) 강의를 듣고 개인 학습용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